반응형 정책 및 재테크217 2022년 대한민국 경제, 어떻게 될까? 문재인 대통령 2022년 경제정책방향 보고. 문제인 대통령은 2022년 경제정책 방향에는 ‘위기를 넘어 완전한 정상화를 이루겠다’는 정부의 정책 의지를 담았으며, 완전한 경제 정상화는 안정된 방역 속에서만 이룰 수 있다고 했다. 굵고 짧은 방역 강화로 다시 일상 회복으로 돌아가야 내수와 고용 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음을 강조하며, 정부는 방역조치 강화로 인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방역지원금, 손실보상, 금융지원 등 가용 재원을 총동원하여 다각도로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니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희망해본다. 그 외에 고용안정과 부동산 안정,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한국판 뉴딜 2.0의 본격 추진으로 선도형 경제 전환과 탄소중립 시대, 친환경·저탄소 경제 전환 방향을 보고하였다. 문제인 정부의 임기가.. 2021. 12. 20. 주식시장, 누가있나? 위험을 감수하고 주식 시장에 뛰어들어다면 우리는 과연 어떤 투자자가 되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코스톨라니가 말하는 주식시장의 인물들은 모두 부자가 되어있을까? 주식시장에는 등장하는 인물들의 속성을 알아보고 우리가 가야 할 길을 찾아보자. 주식시장에 뛰어들려면 "기꺼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준비운동이 필요하다. 중개인 주식 중개인, 시장형성자, 브로커, 모두를 포함한다. 중개인은 매상만을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들은 고개의 수수료로 돈을 번다. 주식투자로 돈을 버는 사람이 아니다. 그들은 머리가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지만, 꼭 필요한 존재들이다. 매니저 펀드매니저, 자산관리사 등이 포함된다. 그들도 중개인과 비슷하다. 그들의 투자성공률은 높지 않다. 그들 중에는 시장을 잘 예측할 수 있는 능역을 가.. 2021. 12. 20. FOMC 정책성명서 발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가 더 빠른 금리 인상을 예상했음에도 뉴욕 증시는 빠르게 반등했다.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안도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회의 결과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자. FOMC 정책성명서 발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테이퍼링 종료 후 금리 인상까지 오래 기다릴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면서도 "위원들이 점진적인 금리 인상 경로를 예상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테이퍼링(자산매입)을 서둘러 끝내고 내년에 본격적으로 금리인상에 나서겠다는 신호를 보냈는데, 16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연준은 FOMC 회의를 끝내면서 테이퍼링 규모를 월 15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확대했으며, 이 경우엔 내년 3월이면 .. 2021. 12. 16. 거리두기 및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보상 방안 발표 코로나19 확산세가 15일 밤 21시까지 6500여 명으로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하자, 정부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어떤 방안이 발표되었는지 알아보자. 거리두기 및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보상 방안 발표 김부겸 국무총리가 발표한 거리두기 정책 방안 내용은 사적 모임 인원을 4명으로 줄이고, 가게 영업시간은 밤 9시 또는 10시로 제한된다고 발표하였다. 지난 11월 1일부터 시작됐던 단계적 일상 회복이 한 달 만에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가 가파르게 상승하자, 정부는 단계적 일상생활 회복을 잠시 멈추기로 결정하며, 거리두기 4단계 수준으로 현재 수도권 6명, 비수도권 8명인 사적 모임 인원을 모두 4명으로 제한하고, 식당과 카페는 접종 완료자로만 4인까지 이용 가능하며 미접종자는 혼자서 포장, 배달만 허용된다... 2021. 12. 16. 이전 1 ··· 51 52 53 54 55 다음 반응형